본문 바로가기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50 SPC (특수목적법인)

by 스윗스마트 2025. 2. 5.

 

여러분은 "SPC" 또는 "SPV" 또는 "특수목적법인"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다소 어렵고, 평소 듣지 못하는 용어일 것 같습니다.

이번 기회에 새로운 용어를 익혀 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SPC

잠깐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동일한 명칭인 [SPC그룹]이 있습니다.

옛날 삼립식품이었고, 최근에는 파리바게뜨, 던킨, 베스킨라빈스, 세이크쉑버거, 해피포인트 등이 있습니다.

 

오늘 알아 볼 "SPC"는 이와는 전혀 다릅니다.

 

1. SPC의 의미

"SPC"는 영어 약자로 "Special Purpose Company"의 줄인 것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SPV = Special Purpose Vehicle"이라고도 표현합니다.

 

둘다 한글로는 "특수목적 법인"입니다.

쉽게 표현하면 "특수한(또는 하나의) 목적을 위해 설립된 회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름에서 나온 것처럼 처음에 명시된 목적(목표)이 달성되면 이 회사는 청산이나 해산되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이 회사는 일반적인 회사와는 달리 최소한의 인원으로 구성됩니다.

예를들어, 대표이사나 기본 임원구성 그리고 목적에 맞게 일부 외부인력(감사, 회계인, 은행)이

명시되기도 합니다

 

2. SPC의 기능

앞서 언급한 [특수목적]에 대해 좀 더 이야기 해 보겠습니다.

이 부분은 "왜 SPC가 필요한가?"를 설명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주로 다음의 목적이 대표적인 "SPC"를 위한 것입니다.

 

  1. 금융기관에서 발생한 부실채권을 매각하기 위해 설립하는 자산유동화전문회사
  2.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민간투자(도로, 항만, 태양광발전소 등)를 위한 회사
  3. 특정 사업에대한 투자를 위한 회사
  4. 문화콘텐츠(영화제작, 공연 등)를 위한 문화산업전문회사
  5. 선박의 장기인수나 특정 프로젝트를 위한 회사

 

"SPC"는 법인이라는 형태로 설립되기 때문에 해당되는 법령에 의해 설립과 운영 등이 제한을 받기도 합니다.

 

그 외에는 일반적인 법인의 활동을 모두 할 수가 있습니다.

다만, 회사의 정관 등에서 정한 내용을 목적과 활동범위로 제한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러분이 알고 있는 "SPC"가 있는지 한번쯤 살펴보면 어떨까요?

 

3. 뉴스제목 속 SPC

지금까지 "SPC"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국가 AI컴퓨팅 센터' 구축 위해

정부-민간 SPC 설립한다

비수도권 설립, 23일 공고·8월까지 심사

AI 인프라 서비스 요금 낮추고 생태계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