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2 리디노미네이션

by 스윗스마트 2024. 10. 1.

 

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리디노미네이션

 

여러분은 "리디노미네이션"이라는 용어를 들어 보셨나요?

평소 듣기 쉽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만, 아주 관련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는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리디노미네이션의 의미

 

"리디노미네이션"은 영어표현으로 "redenomination"입니다.

쉽게 풀이하면 "화폐 단위 변경"이라고 표현됩니다. 즉, 돈의 액면가(=표시금액)가 바뀐다는 것입니다

 

엥? 화폐의 표시금액이 바뀌다니? 그게 무슨 말이야?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화폐(=지폐와 동전)라는 실물이 바뀌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이는 단순히 새로운 지폐의 등장이나, 디자인이 바뀌다는 것 이상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과거로 시간을 조금만 거슬러 올라간다면, 금방 화폐의 액면가(=표시금액) 변화를 알아챌 수 있습니다.

 

우선, 예전에 사용되었던 단위는 "환"이 대표적입니다.

대한민국의 경우 1950~60년대에 2차례에 걸쳐, "환"이라는 단위를 "원"이라는 단위로 바뀌었습니다.

단순한 화폐의 단위명칭만 바뀐 것이 아니라, 화폐의 가치도 [1환=1000원]으로 바뀌었답니다.

 

화폐 단위 변경은 어느 쪽 방향으로도 가능합니다.

큰 금액의 단위를 작은 금액의 단위로 바뀌는 것도 가능하고, 그 반대로 가능합니다.

하지만, 대체로 경제가 성장하고 물가가 오르는 것을 감안하면 "작게 변화"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면 왜 이런 "리디노미네이션"이 생기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알아 보시죠.

 

2. 리디노미네이션의 기능 또는 특징

 

"리디노미네이션"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발생합니다.

그 이유를 크게 4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물가상승으로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2) 국가간의 통합, 새로운 국가의 탄생과 같은 이유 때문입니다. (유로화의 탄생)

(3) 10단위 화폐로 변화 때문입니다. (파운드화)

(4) 기타의 이유 때문입니다.

 

이러한 "리디노미네이션"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이 모두 존재합니다.

 

긍정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경기의 부양이 됩니다. 효율적인 통화의 선택으로 거래가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둘째, 지하경제(음성적인 돈)의 양성화를 이룩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부정적인 측면도 존재합니다.

첫째,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둘째, 화폐단위의 변경으로 경제적 대혼란(시스템 변경, 사기사건의 발생)이 생깁니다.

셋째, 실물자산에 투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원"이라는 단위에 대해서도 "리디노미네이션"을 가끔 언급하기도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한국돈 1,000원 = 미국 1달러]이라는 교환비율입니다.

대체로 강대국의 돈은 작은 액수의 돈을 안정적으로 쓰기 때문입니다.

 

언젠가 "리디노미네이션"이 생길지도 모르겠습니다.

경제의 성장일지, 인플레이션일지, 북한과의 통일일지 그 이유는 모르겠지만,

화폐개혁은 언젠가 올 일것 같습니다.

 

한번쯤 이런 것에 생각을 해 보면 좋겠습니다.

 

3. 뉴스제목 속 리디노미네이션

 

지금까지 "리디노미네이션"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한은총재도 꺼낸 '리디노미네이션'...

뭐길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