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은 생활을 하면서 "코픽스"나 "COFIX" 에 대해 들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주택담보대출을 받아 보셨다면 한번쯤 들어 봤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코픽스( COFIX)"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코픽스의 의미
먼저 "코픽스"의 의미를 알아 보겠습니다.
"코픽스(COFIX)"는 대한민국내 은행의 자금조달 지수입니다.
좀 더 쉽게 설명하면 고객들이 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기준이 되는 금리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런데 분명 대한민국에서는 중앙은행(=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기준금리가 있습니다.
이 때의 기준금리는 중앙은행-시중은행간 거래시에 적용되는 금리를 의미합니다.
"코픽스"는 은 시중은행-고객간 거래시에 적용되는 금리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가장 대표적인 거래의 예시가 [주택담보대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어로 "COFIX"이고 "Cost of Funds Index"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 "조달 금리 지수" 정도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 생활속 코픽스
이 "코픽스"는 2010년 2월에 도입된 새로운 대출 기준금리입니다.
8개의 시중은행(기업, 국민, 농협. 신한, 우리, 하나, 한국씨티, SC제일)의 조달상품의 금리를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가끔 뉴스에서 "코픽스 금리가 많이 올랐다/내렸다"라는 식의 기사를 접할 수 있습니다.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이 "코픽스"가 곧바로 고객들의 대출금리라는 개념은 아닙니다.
이는 시중은행이 조달하는 기준이 되는 금리수준인 것이고, 고객들은 거래상황/규모/신용도 등을 고려하여
가산금리가 덧붙여 최종 적용금리가 결정이 됩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코픽스"는 [변동금리]입니다.
우리가 대출을 받을 때 [변동금리] 또는 [고정금리]로 진행하게 됩니다.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함으로 어느 것이 절대적으로 좋은 것이다 말할 수 없습니다만,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에는 [변동금리]가 불리한 것이 일반적입니다.
끝으로, "코픽스"에는 [잔액기준 COFIX], [신규취급액기준 COFIX], [단기COFIX] 등 종류가 몇가지가 있습니다.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을 때 "코픽스"를 사용한다면 어떤 기준인지 한 번 살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3. 뉴스제목 속 코픽스
지금까지 "코픽스"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여보, 변동금리 갈아탈까"
주담대 6개월 연속 하락…
"코픽스 반영"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2 고령화사회 (0) | 2024.08.02 |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1 워커밸 (0) | 2024.07.30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19 DRM (디지털 권리관리) (4) | 2024.07.23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18 특허괴물 (Patent troll) (0) | 2024.07.19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17 CIC (사내회사제도)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