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2 고령화사회

by 스윗스마트 2024. 8. 2.

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고령화사회


여러분은 "고령화사회"라는 용어를 들어 보신 적 있나요?
뉴스에서 계속 언급되고 있는 용어인데, 이번에는 "고령화사회"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고령화사회의 의미

"고령화사회"는 쉽게 말해 "총인구 중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7% 이상인 사회"를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된 유사용어를 같이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령화사회: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이 7% 이상
고령사회: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이 14% 이상
초고령사회: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이 20% 이상

대한민국의 경우 2005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고 합니다.


2. 생활속 고령화사회

그런데 왜 이런 "고령", "고령화사회"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인가요? 문제라면 해결방법은 있는 것일까요?

우선 "고령화사회"라는 것은 [단순히 사회 구성원이 나이 들어감]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사회 구성원이 [경제활동인구]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령자에 대해 다양한 사회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면서 관리를 해야 합니다. .
이는 곧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이 수립되고 사용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많은 시니어들(고령화 인구)들에 대한 복지정책과 지원정책이 없다면 곧바로 사회문제로 직결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비 지원예산이라든지, 고독사, 노인빈곤, 독거노인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정부/지방자치단체 또는 사회복지단체는 이들 고령자에 대해 지속적이고 세심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만약, 이런 문제들은 사회의 배분의 문제, 정치적인 포퓰리즘, 소비활동 저해, 출산지원의 감소 등 다양하게 연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나 단체는 이런 문제를 지속적으로 이슈화 시키고, 올바른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하겠습니다.

3. 뉴스제목 속 고령화사회

지금까지 "고려화사회"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서울시,
저출생·고령화 대응 위한
'인구전략계획' 발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