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은 "고령화사회"라는 용어를 들어 보신 적 있나요?
뉴스에서 계속 언급되고 있는 용어인데, 이번에는 "고령화사회"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고령화사회의 의미
"고령화사회"는 쉽게 말해 "총인구 중에서 65세 이상의 인구가 7% 이상인 사회"를 의미합니다.
이와 관련된 유사용어를 같이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령화사회: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이 7% 이상
고령사회: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이 14% 이상
초고령사회: 총인구에서 65세 이상이 20% 이상
대한민국의 경우 2005년에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고 합니다.
2. 생활속 고령화사회
그런데 왜 이런 "고령", "고령화사회"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 것일까요?
그리고 그것이 문제가 되는 것인가요? 문제라면 해결방법은 있는 것일까요?
우선 "고령화사회"라는 것은 [단순히 사회 구성원이 나이 들어감]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사회 구성원이 [경제활동인구]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생산활동과 소비활동에 있어 장애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령자에 대해 다양한 사회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면서 관리를 해야 합니다. .
이는 곧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예산이 수립되고 사용되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많은 시니어들(고령화 인구)들에 대한 복지정책과 지원정책이 없다면 곧바로 사회문제로 직결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의료비 지원예산이라든지, 고독사, 노인빈곤, 독거노인과 같은 사회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정부/지방자치단체 또는 사회복지단체는 이들 고령자에 대해 지속적이고 세심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만약, 이런 문제들은 사회의 배분의 문제, 정치적인 포퓰리즘, 소비활동 저해, 출산지원의 감소 등 다양하게 연관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나 단체는 이런 문제를 지속적으로 이슈화 시키고, 올바른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해야 하겠습니다.
3. 뉴스제목 속 고령화사회
지금까지 "고려화사회"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서울시,
저출생·고령화 대응 위한
'인구전략계획' 발표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4 GDP (국내총생산) (0) | 2024.08.09 |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3 개별소비세 (0) | 2024.08.06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1 워커밸 (0) | 2024.07.30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0 코픽스 (COFIX) (0) | 2024.07.26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19 DRM (디지털 권리관리) (4)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