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1. 블록체인의 의미
이번에는 "블록체인(block chain)"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을 말 그대로 풀이하면 "블록(block)+체인(chain)"입니다.
특정 정보가 담긴 덩어리를 의미하는 "블록(block)"을 사슬인 "체인(chain)" 형태로 연결한다는 뜻입니다.
더 쉽게 풀이를 하자면 "정보가 담긴 데이터 덩어리(=블록)을 사슬처럼 연결하여 사용한다"입니다.
먼저 정보가 담긴 "블럭"은 특정한 거래가 일어나면 생기는 "거래정보가 담긴 데이터모음"입니다.
그리고 "체인(=사슬)"이라는 형태로 연결하는 것은, 특정 거래는 기존 거래내역에 덧붙여져(=사슬처럼 연결)
정보가 저장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변경된 정보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가지게 됩니다.
2. 생활속 블록체인
가장 손쉬운 예로, "비트코인"을 들 수가 있습니다. (비트코인 = 가상통화)
이 가상통화는 중앙은행 또는 시중은행에서 유통되거나 거래되지 않고, [개개인간 거래]로 진행됩니다.
특정 개인이 비트코인을 일정량 가지고 있고, 물건(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가게에서 이 비트코인을
받아 준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개인은 물건(서비스)를 받고, 자신이 보유한 비트코인을 가게로 전송합니다.
일반적인 상업적인 거래라면 개인은 돈을 가게로 지급하면 끝나고, 거래내역은 은행잔고로 정리가 됩니다.
그런데 비트코인은 개인간의 거래이므로 거래내역 및 잔고를 따로 기록하고 정리해야 합니다.
이때 비트코인 거래내역을 개인과 가게 뿐만 아니라 비트코인을 거래하는(거래 할 수 있는) 모든 당사자에게
해당 거래정보(=블록)를 기존거래에 사슬처럼 덧붙여(=체인형태)로 공유한다는 것입니다.
이 "블록체인"은 각 거래가 독립적이지 않고 기존 거래에 연결되는 형태라서 해킹이나 위변조를 할 수 없다고 하며,
많은 사람들이 공유하므로 "공공 장부"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가장 큰 장점은 데이터의 보안성, 거래절차의 간소화(효율성) 및 거래비용의 감소(경제성)을 들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대로, 중앙은행이나 국가에서 용인한 형태의 화폐는 아니고, 개개인간의 거래에 사용되는 화폐이자
기술이므로 그 관리나 감독에 대해 보완되어야 할 점이 분명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미래에는 이런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방식이 더 선호될 것이라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3. 뉴스제목 속 블록체인
지금까지 "블록체인"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블록체인 상품도 '제로'…
시장에 드리운 가상자산 포비아
2021년 승인후에도 상장 없어…
불확실성에 출시 망설여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29 유연근무제 (0) | 2024.04.10 |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28 과세표준 (0) | 2024.04.09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26 확증편향 (1) | 2024.04.07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25 오픈뱅킹 (open banking) (0) | 2024.04.06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24 화이트 바이오 (white bio) (0) | 2024.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