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6 부채비율

by 스윗스마트 2024. 10. 29.

 

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부채비율

여러분은 "부채비율"에 대해 들어 보신 적 있나요?

기업에 대한 분석이나 경제용어에 익숙하지 않지 않다면 못 들어 봤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이번에는 "부채비율"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부채비율의 의미

 

"부채비율"은 기업의 회계장부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이를 쉽게 풀이하면, "부채(빌린 것)를 자본(순자산)으로 나눈 것"입니다.

 

아무래도 이 정도로 설명해도 어려운 건 사실입니다.

 

"부채비율" 이해를 위해, 먼저 회계개념 하나를 사전 설명하겠습니다.

 

기업의 회계장부 구성은 아주 크게 본다면 2가지 개념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1) 대차대조표(또는 재무상태표)

- 특정한 시점에 표시한 회사의 재무상황을 의미함

- 회사의 활동을 자산, 부채, 자본항목으로 나누어 표시

 

(2) 손이계산서(또는 포괄손익계산서)

- 특정한 기간동안 회사의 손익활동을 나타낸 것

- 손익활동을 수익과 비용으로 나누어 표시

 

어려운 개념이지만, 이제 다 왔습니다.

 

오늘 다루는 "부채비율"은 바로 [대차대조표에서 회사의 부채를 자본으로 나눈 것]인

것입니다.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 기업의 사례를 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부채비율의 실제 예시

 

한 기업의 "부채비율"을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특정 시점의 회사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가 아래와 같다면, 이를 통해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부채비율 예시

 이 단순한 계산만으로 회사의 재무상황을 어느 정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즉, 위 회사는 순수한 회사돈보다 3배 많은 돈을 빌려서 사업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부채비율"을 해석하려면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그 회사(기업)이 속한 산업군의 평균 "부채비율"이 어떤지 함께 살펴 보아야 합니다.

둘째, 과거 몇 년동안의 "부채비율" 추세를 살펴 보아야 합니다.

셋째, 기타 "부채비율"에 영향을 주는 비재무적/재무적 항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넷째, 부채 항목의 성격을 살펴보아서 좋은 부채, 나쁜 부채를 구분해야 합니다.

 

물론 "부채비율"이 낮으면 대체로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부채비율 0% = 무차입경영"을 자랑스럽게 내세울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경제학적으로는 부채(=빌린 돈)를 통해 더 많은 질 좋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면,

부채를 일으키는 것이 합리적인 행동이라고 합니다.

 

한 개인도 특정시점의 재무상황(대차대조표)을 정리할 수 있다면, 개인의 "부채비율"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자신의 현재 "부채비율"을 계산해 보면 어떨까요?

 

3. 뉴스제목 속 부채비율

 

지금까지 "부채비율"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대형 건설사 절반 부채비율 200% 넘겨

코오롱글로벌 187%p 상승, 한신공영 89%p 하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