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7 브릭스

by 스윗스마트 2024. 11. 5.

 

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브릭스

이미 조금 지난 용어이긴 하지만 여전히 의미를 가지는 "브릭스(BRICS)"에 들어 보신 적

있나요? 과일의 당도를 표시하는 "브릭스(brix)"로 한글로는 같지만 영문으로는 다릅니다.

 

이번 시간에는 "브릭스"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브릭스의 의미

 

"브릭스"는 영어 약자이며, 국가들을 나타냅니다.

대략 2006년에 만들어진 용어이지만, 2010년 [남아프리카의 가입]으로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B: Brazil (브라질)

R:Russia (러시아)

I: India (인도)

C: China (중국)

S: South Africa (남아프리카)

 

세계에는 여러 국가들의 모임들이 있습니다.

국가별로 공동의 목적으로 이루어진 단체나 협의체가 다수 존재하고 있습니다.

 

"브릭스"도 이러한 점에서 동일한 개념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이런 "브릭스"는 단순히 국가들의 모임을 뛰어 넘어, 경제적으로 상호 도움을 주는 협력체로

자리잡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중국이나 러시아, 인도가 있으니 더 그렇겠죠.

 

이런 국가들의 특징이나 내용을 좀 더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브릭스 국가의 특징

 

"브릭스" 국가들은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아직 선진국이 아닌 개발도상국이라는 것입니다.

선진국이 아니라는 점에서 성장을 계속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집니다.

 

둘째, 개발도상국으로 아주 빠른 성장 또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다르게 해석하면 발전을 위한 자금이나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셋째,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국가들의 모임입니다.

미국과 우호적이지 않거나, 심한 경우 적대적인 관계에 있는 모임입니다.

 

그리고 "브릭스"는 처음의 단순한 성장국가의 성격에서 벗어나 미국이 아닌 [새로운 국제질서]를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다른 국가들의 적극적인 유치를 하고 있기도 합니다.

2023년의 경우, 신입 가입회원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아랍에미레이트, 에티오피아, 이집트,

아르헨티나 등도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많은 국가, 특히 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는 (또는 적대적인) 국가들이 늘어나면

미국이 내세운 질서를 위협하는 존재들로 인식될 것입니다.

 

여기에 미국이 어떤 판단이나 행동을 할지도 주의깊에 봐야할 수 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위치나 입장을 어떻게 해야 할지 잘 정하면 좋겠습니다.

 

 

3. 뉴스제목 속 브릭스

 

지금까지 "브릭스(BRICS)"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동남아 국가에 손 내미는 브릭스(BRICS)

태국과 말레이시아, 브릭스 가입 신청 …

‘아세안 중심성’ 흔들릴까 우려의 목소리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