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은 뉴스나 신문에서 "ESG"라는 용어를 들어 보셨나요?
이번에는 "ESG"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1. ESG의 의미
"ESG"는 영어 약자인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E: Envirnment (환경)
S: Social(사회)
G: Governance(지배구조)
쉽게 풀이하면, "기업이 지속가능한 경영을 하려면 필요한 3가지 요소"입니다.
기업이 단순히 돈을 버는 것만으로 생존이나 계속성장이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분명, 과거에는 기업이 돈을 벌기만 하면 다른 특정 부분이 부족하거나 미미해도
(심지어는 비도덕적이라도) 살아남고 성장하는 것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세상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단순히 돈벌이에만 집중하면 소비자(고객)으로부터 외면 받고, 다른 비용들이 더
많이 발생하게 되었기 때문에 "ESG" 개념은 기업에서 아주 중요해 졌습니다.
2. ESG를 좀 더 살펴 보면
먼저 "ESG"가 중요한 이유, 필요한 이유를 살펴 보겠습니다.
(1) 소비자들이 변화하면서, "ESG"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습니다.
(2) "ESG"관련 규제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3) 기업의 의사결정이 기준에 "ESG"가 점점 더 많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4) 기업의 가치나 성과에 대한 판단에 "ESG"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면, 구체적으로 "ESG"는 어떻게 사용하는 것일까요?
첫째, 기업의 준수의무로 작용을 합니다.
사회의 목표와 가치 측면에서 바람직한 정책을 추구하고, 그에 대한 의사결정 혹은 행동을
실시하게 됩니다.
둘째, 이해관계자 기대에 부합합니다.
특정 시점에 사회가 조직에 대해 가지는 경제적, 법적, 윤리적, 자율적 기대를 포괄함으로써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킵니다.
셋째, 투자의사결정에 반영됩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투자 형태로 볼 수 있으며, 경영진은 기업에 적절한 사회적 채임을
고려한 투자기준으로 결정을 해야 합니다.
이렇게 "ESG"를 설명해도 여전히 어렵습니다.
다시 좀 더 쉽게 설명하면 "ESG = 사회구성원/국가가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기준대로 경영"
정도일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주변의 기업이 이런 "ESG 경영"을 하고 있는지 한번쯤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뉴스제목 속 ESG
지금까지 "ESG"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BNK금융그룹, 중소기업 ESG 온라인 교육
우대금리 지원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0 복리 (1) | 2024.09.17 |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9 IPO (2) | 2024.09.10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7 금산분리 (0) | 2024.08.27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6 공매도 (0) | 2024.08.20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25 국부펀드 (0) | 2024.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