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러분은 "할랄" 또는 "할랄제품"이라는 말을 들어 보셨나요?
이번 시간에는 "할랄"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할랄의 의미
"할랄(halal)"은 이슬람교와 관련이 있는 용어입니다.
종교적 용어이긴 하지만, 일상에서 간혹 접할 수 있는 것이니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먼저 "할랄"은 아랍어로 [허용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슬람교도(=무슬림)들이 먹고 쓸수 있는 제품을 의미합니다.
크게 2가지 범주가 있습니다.
(1) 이슬람 율법에서 허용한 제품
(2) 이슬람식 알라의 이름으로 도살된 고기 (염소, 닭, 소 등)
참고로, "할랄"과는 반대로 무슬림에게 금지된 것을 [하람(haram)]이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술과 마약류처럼 정신을 흐리게 하는 것, 돼지고기, 개, 고양이 등의 동물이 있습니다.
이게 우리들에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 라고 물으실 수 있습니다.
그건 우리가 전세계로 여행을 하고, 그들과 무역이라는 거래를 하기 때문에 알아야 합니다.
그러면 "할랄"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좀 더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할랄을 알아야 하는 이유
앞서 살펴본 [수쿠크]처럼 "할랄"은 많은 이슬람국가와 종교인에 의해 지켜지는 의무사항입니다.
대략 전세계 199개국, 60억 인구라고 가정을 해 봅시다.
그 중에서 이슬람교를 공식적으로 채택한 국가는 약 27개, 그리고 전세계 인구 중 20억명이 이슬람교도
라고 합니다. 기독교는 13개국이라고 합니다. (미국 포함 많은 나라들은 중립적인 태도라고 합니다)
이 정도면 이슬람교와 무슬림의 영향력이 전세계적으로 어느 정도 인지 알 수 있겠지요?
한 마디로 그 영향력이 막대하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할랄 푸드는 전 세계 식품시장의 약 16%를 차지한다고 합니다.
특히, 네슬레, 맥도날드 등의 다국적 기업들이 [할랄 시장]에 진출해 있다고 합니다.
대한민국도 과자 중에서 일부(국희땅콩샌드, 콘칩, 빼빼로)가 "할랄 제품"으로 인정 받았다고 합니다.
현대의 대부분의 제품은 순수한 재료나 가공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각각의 구성 재료와
그 가공법이 이슬람교에서 허용하는 것들이거나 허용된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할랄 인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단순히 이슬람교를 믿는 국가로의 여행뿐만 아니라, 국가경제 차원에서 이슬람교 국가와의 거래나
무역의 협상 등에서 이 "할랄"이라는 것을 마주치게 됩니다.
단순히 종교적인 용어, 의미만으로 모른척하거나 배척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주변에 "할랄 제품"이나"할랄 인증된 것"을 찾아 보면 어떨까요?
3. 뉴스제목 속 할랄
지금까지 "할랄"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싱가포르 최대 유통매장에
'할랄 인증' 김치 최초 입점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42 스톡옵션 (5) | 2024.12.10 |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41 스무딩오퍼레이션 (5) | 2024.12.03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9 수쿠크 (sukuk) (0) | 2024.11.19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8 ETF (7) | 2024.11.12 |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37 브릭스 (4) | 2024.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