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설명

아이쉬운 생활속 용어 #115 서킷브레이커 (circuit breaker)

by 스윗스마트 2024. 7. 11.

우리가 생활속에서 접하는 다양한 용어들을 아이도, 아주머니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저도 모르는 부분은 배우고, 여러분도 성장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서킷브레이커


여러분은 주식과 관련된 용어인 "서킷 브레이커"를 들어 보신 적이 있나요? 

이번에는 "서킷 브레이커"를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킷브레이커의 의미

​우리가 알아 볼 주식시장의 "서킷 브레이커"는 "일시적 매매중단 제도"를 의미합니다. 
영어로는 "circuit breakers"라고 표현합니다. 의미는 "회로의 차단하는 장치"입니다. 

​"서킷 브레이커는" 총 3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실 어려우니 대략 이 정도로 되고 있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1단계: 종합주가지수가 전일에 비해 8%이상 하락한 경우, 주식거래 20분간 중단, 이후 10분가 단일가매매 진행
2단계: 전일에 비해 15%이상 하락한 경우, 주식거래 20분간 중단, 이후 10분간 단일가매매 진행
3단계: 전일에 비해 20%이상 하락 & 2단계 발동지수대비 1%이상 추가하락, 모든 거래 중단

"서킷 브레이커"의 또 다른 의미는 2가지가 있습니다. 

전기회로에서 [회로 차단기]라는 의미가 있으며, 코로나19와 같은 시기의  [미니 봉쇄조치]를 뜻합니다.
언급한 전기회로에서 개념을 주식시장과 봉쇄장치로 그 의미를 적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 서킷 브레이커의 역할

​"서킷 브레이커"는 [주식시장의 급락, 폭락을 방지]하는 장치입니다. 
주식시장이 급격하게, 빠르게 하락하는 것은 인간의 공포에 의해 만들어 집니다. 

한 번 하락을 하게 되면 그 하락이 걷잡을 수 없게 빠르게 폭락하여 대부분의 주식이 휴지조각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을 막고자, 주식 참여자에게 한 숨을 돌리고 찬찬히 다시 살펴볼 시간을 주는 것입니다. 

만약, 이러한 "서킷 브레이커"의 장치가 없다면 경제적으로 큰 나쁜 사건(예-911테러,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이 

발생하면 주식시장은 더이상 존재할 수가 없을 정도로 망가지게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서킷 브레이커"는 1987년 10월 미국 최악의 주가 대폭락 사태인 블랙먼데이(Black Monday) 이후 처음으로
도입되었다고 합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 완화장치에는 다음의 것들도 있습니다. 

[가격 제한폭 제도], [서킷 브레이커/사이드카], [종목별 변동성 완화장치]

어떤 것이든 너무 크게 변하는 것은 좋지 않은 것 같습니다. 


3. 뉴스제목 속 서킷브레이커

지금까지 "서킷브레이크"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관련 뉴스제목은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 

감사 합니다. 
-------------------------------------------------------------------------------------
코스피·코스닥, 사이드카·서킷브레이크 모두 발생…
역사상 초유 사태
서킷브레이크, 코스피 4번, 코스닥 8번 발동한 적 있어
-------------------------------------------------------------------------------------